스텐정보

[스텐 바로알기] 스테인레스강 304, 27종 ? 스텐 재질 sts 200 주의사항

베기 beggi 2020. 4. 2. 13:29

그럼 스텐레스 종류를 구별하는 방법을 알아보자구요~

많은 주부님들이 스텐제품을 구매하려고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아보시면,

304재질이니, 27종이니, 자석에 붙니 안붙니, 정말 돌아버리죠..

 

사실 스테인레스가 녹이 안슨다는 뜻인줄도 모르고 있었는데...

이런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할거라고는 정말 상상도 못했죠.

그래도 좋은 제품을 구매할려고 이 사이트, 유명한다고하는 스텐레스 카페에 들어가서 정보를 파악하더라도,

컴퓨터에 조금 실력이 있으신분들도

오랜시간 알아보셔야 될겁니다^^

 

 

일단...

 주방식기제품을 구매하시려면, 304 = 27종 = 18-10 만 기억하세요~~

 

 

 

그리고, 제가 조사한 내용을 한번 읽어 보시고, 이해만 해보세요^^

 

 

(스테인레스강 재질 구분방법)

 

Sts -> aisi(미국철강학회) type no 3자리를 사용한 한국에서 사용하는 분류기준입니다.

 

Sus -> 일본공업규격 jis이며 조성은 한국과 같기 때문에 일본 스테인레스 제품을 구매했을 경우를 위해서 알아두면 좋을겁니다. 뒤의 넘버와 조성은 한국과 같습니다.

 

강철 + 크롬 (페라이트계)

강철 + 크롬 + 니켈 (오스테나이트계)

구시대명칭 51 24

구시대명칭 27 32

부식될가능성이 높다

부식될 가능성이 낮다

자석에 붙는다

자석에 안붙는다

Sts 400 계열

Sts 200계열(조심), sts 300계열

자동차, 기계제품에 주로 사용

주방용품,식기용품으로 주로 사용

 

51-> sts 410의 구시대 명칭이며 기계부품과 칼날들을 만든재질입니다. 

자석에 붙으며 녹발생도 간간히 발생되는 재질입니다. 크롬만 첨가되어 있는 페라이트계라고 합니다.  

 

24-> sts 430의 구시대 명칭이며 자석에 붙으며 녹발생도 간간히 발생되는 재질입니다. 

주방 및 기계제품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27(sts304)재질과 구별해야 합니다

 

27-> sts304의 구시대 명칭이며 자성과 녹발생이 거의 없는 재질입니다. 

주방제품과 의료제품으로 많이 사용하는 재질입니다.

 

32-> sts 316의 구시대 명칭이며 가공이 어렵고 고가이지만, 자성 및 녹이 거의 안슬기 때문에 해안지역에 많이 사용되어 집니다.

 

오스테나이트계 크롬 니켈 함유량에 따른 분류는 

18-8, 18-10 : 크롬과 니켈의 합금비율을 기준으로 한 명칭인데 이 두가지 모두 sts 304 재질입니다.

스테인레스 316 304에 비해 내식성은 더 좋으나..

316까지 식기류로 사용했을경우 가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보통 sts 304계열과 18-10재질일 경우 상품에 꼭 표시를 합니다. 

표시가 안되있는 제품은 좀 의심할 필요가 있는 제품입니다.

18-10  18-8제품의 비교숫자만으로 보면 18-8제품의 니켈 함유량이 적어 아무래도 18-10에 비해 내식성이 약합니다. 

그러나 18-10 ,18-8제품 모두 sts304(27)재질로 실제 큰차이는 없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음식이 닿고 불을 사용하는 식기류일경우 18-10로 표시된 제품을 고르시는게 유리합니다.

불을 사용하지 않는 제품은 18-8제품도 무관합니다.

 

(Sts 200 계열 주의사항)

 

Sts 200 < ,sts 410 < sts430 < sts 304 < sts316

Sts 200 제품은 자성은 없지만, 녹발생이 많아서 일부 저질제품에 많이 사용되는 재질입니다

-스테인레스 제품을 구입하였을 때 자석에 붙는 제품은 안좋다고들 말하는데 완벽하게 맞는말은 아닙니다.  Sts 200제품은 자석에 안붙기 때문입니다.

-주로 주방용품이나 식기제품은 sts304 재질을 사용하기때문에 300계열이 표기되어 있는 제품을 구입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