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드란?
알루미늄 + 스테인레스 스틸 의 접합
여러가지 다양한 금속을 함께 결합하여 각 금속의 장점만을 취하는 고급신소재로, 그중에 열전도율, 열보존율, 열효율성이 뛰어난 알루미늄과 내염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 스틸을 접합시킨 소재가 가장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제조방법은 2겹이상의 스텐인리스 스틸 사이에 알루미늄이 삽입되어 열과 함께 눌러서 접합 제조합니다.
통3중,통5중,통7중제품까지 나옵니다.
클래드 중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스텐레스와 알루미늄의 경우
장점(특성)은
첫째, 알루미늄의 가볍고 열전도가 좋은 점을 살려 속에 삽입되는 알루미늄을 두껍게 해주고, 둘레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강도가 높고 열전도가 나쁜 점을 고려, 얇게 접합시켜 가볍고 열전도가 좋은 금속을 얻을 수 있습니다.
둘째, 열전도가 좋으며 열보존성이 좋은 소재이기에,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때는 시간이 짧게 걸리고 가열된 내용물은 잘 식지 않습니다.
셋째, 내식성이 나쁜 철판이나 내염수성이 좋지 않은 알루미늄의 표면을 내식성이 강한 금속으로 얇게 클래딩하면 철판과 알루미늄의 기능을 유지하며 부식의 단점을 극복합니다
.
넷째, 유도가열이 되려면 자성이 있는 금속 즉, 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40계열의 소재가 되어야 하나 철은 무겁고 녹슬기 쉽고 스테인리스 스틸은 열전도가 나쁜 단점이 있어 그 단점을 대체한 알루미늄 등으로 클래딩하면 장점만을 갖춘 유도 가열 소재가 됩니다.
아래사진은 통3중 냄비를 단면으로 자른 모습입니다.~
안쪽에 304재질이고 중간면은 알루미늄 바깥쪽은 400, 300계열의 스텐을 사용합니다.
400계열의 스텐을 사용하면, 인덕션에도 사용할수 있는 제품이 되구요~
통5중 -> 스텐과 알루미늄을 5겹으로 제조
통7중 -> 스텐과 알루미늄을 7겹으로 제조
물론 통5중과 통7중이 통3중에 비해 열전도효율은 좋으나 무게가 무겁다는 단점이 있어서,
전문적인 요리사가 아닌 주부가 많이 사용하는 실제 주방에서는
통3중냄비, 통5중냄비 정도를 사용하시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스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텐 기본상식] 스텐팬 사용시 주의해야할 점~ 꼭 알아야 할점 4가지 필독! (0) | 2020.04.10 |
---|---|
스텐냄비 스텐후라이팬을 처음 사시려는 분들 이런점을 고려해서 구입하세요! 스텐냄비 고르는법 (0) | 2020.04.10 |
[주방기초상식] 양수, 편수 냄비란? (0) | 2020.04.08 |
스텐 후라이 팬 예열방법 과 계란후라이 멀쩡 요리하기! (0) | 2020.04.05 |
[스텐 바로알기] 스테인리스, 스테인레스, 스텐레스, 스텐리스, 스텐 어느게 바른 표현일까요? (0) | 2020.04.04 |